• 이번 주 한 일 (팀용)

    • 기획 및 기획 개편

    • ERD & WIREFRAME & USERFLOW & API 명세

    • 개발 환경 설정

    • MVP 구현 80%

    • 김재연

      • 유머게시판 CRUD
      • 유머게시판 댓글 CRUD
      • 기초세팅
    • 김성민

      • 로그인 회원가입 / 노드메일러
      • 간편 로그인 3종
      • 유저 crud
    • 황세민

      • 자유게시판 crud
      • 자유게시판 댓글 curd
    • 박재형

      • 정치 토론방 CRUD
      • 정치 토론방 댓글 CRUD
    • 모진영

      • 재판 CRUD
      • 재판 판례 데이터 정제 후 저장
      • 판례 조회 알고리즘 생각해보기
  • 이외에도 기술적인 방향을 잡기 위한 질문을 정리해두시면 가장 좋습니다!

    → 대용량 채팅/투표 처리 Polling vs WebSocket 어떤게 좋은가 궁금합니다.// 쉽게 구현하는건 웹소켓이다. 일단 웹소켓으로 사용 폴링은 계속 당겨와야 되는데 큰 차이가 없을거 같다. 투표는 폴링으로 구현하자.

    → 조회수를 저장할 때 캐시에 담아두고 일정 주기마다 디비에 업로드 하는 방식은 어떠한지 알려주세요 // 많았을 때 조회수가 좋은 정보면 날라갈 수 있어서 그렇다 . 조회수가 중요하면 그냥 디비에 넣는게 맞다.

    → 기술의 적용 우선순위는 무엇인가요 //

    → 로드밸런싱 과정에서 ELK도 같이 확장돼야 하나요? // 같이 확장 안돼도 된다. 서버를 여러개 띄우는데 ELB써라 . 엔진엑스 써보려면 도전 해봐도 좋다. 그러면 ELB와 엔진엑스 같이 쓸 수 있냐? 있다. 엔진엑스를 웹서버로 쓴다고 하면

    → 수동 스케일링과 오토 스케일링 중 어떤것이 더 기술적 난이도가 있나요? // aws에서 지정 할 수 있다

    → 모듈화 VS 레포지토리 접근, 어떤걸 더 선호하나요?(튜터님 입장, 회사 입장) // 서비스를 불러와서 쓴다 → 판례 데이터를 요청할 때 국가법령정보 공동활용의 OpenApi 이용하기 vs 이미 정제된 데이터셋 이용하기 // 둘 다 써라 주기를 정해서 사용해라 . 언제 최신 업데이트 됐는지 기술

    → 대용량 판례 데이터를 어디다가 저장 해야 할까요? → 원래는 로컬에 저장하거나 몽고 디비에 저장하려고 했으나 데이터의 형식을 보았을 때 관계형 DB에 저장하는 것이 더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→ postgresql 에 저장하는 것을 생각해보았습니다!! // 데이터 형식이 맞다면 postgresql에 저장해라 속도가 중요하면 몽고디비도 생각해봐라 → 데이터들을 내가 원하는 객체형식으로 어떻게 저장할 수 있을까요? →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보아요 → 파이썬 정제 라이브러리는 어떤 걸 써야하나요?? → 좀 더 고민 … → 엘리스틱 서치를 이용할 수 없다고 생각했을 때 대용량의 판례 데이터를 어떻게 하면 잘 검색하여 가져올 수 있을까요?? → mysql의 FULLTEXT 인덱싱 vs postgresql의 tsvectir와 tsquery // 오픈 서치 쓰면 된다. 그러면 요금 내야되는게 걱정되면 어떤게 나을지 한번 더 고민해서 알려주겠다.

    → 좋아요 기능 어떤 기술을 채택하면 좋을까요? // 나중에 넣어라

    → 판례를 검색할 때 판례 번호를 검색하는 것 vs 판례 제목이나 내용으로 검색하는 것 // 이건 인덱스를 뭘로 줄건지 결정해서 써라 판례 내용으로 검색하는게 좀 힘들 수 있으니 안되면 판례 번호로 써라

    → 디비 레벨에서 최적화(분산) Replication vs 샤딩 // 나중에 생각해봐라

  • 숙제: 멘토링 결과 다음 주까지 해올 일

    • 팀 전체
      • api 완성 , 데이터베이스 종류 결정하기 , 채팅 , 투표 방식 자료 조사 후 이유 쓰기 , 로드 밸런서 뭐 쓸것인지 elb쓸지 엔진엑스 쓸지 , 엔진엑스를 쓸거면 로드밸런싱 뿐 아니라 다른 사용 용도까지 조사
    • 팀원 개인별로 작성해 주세요.
      • api 완성하기